콘텐츠로 건너뛰기

(홈스피탈) 미국혈장교환학회(ASFA) 가이드라인

2025년 9월 8일 작성자
(홈스피탈) 미국혈장교환학회(ASFA) 가이드라인
홈스피탈 내과의원


1. ASFA Category (치료 권고 수준 분류)

Category

정의

임상적 의미

I

1차 치료로 권장 (단독 또는 병용)

가장 강력한 권고, 표준치료 수준

II

2차 치료로 권장 (단독 또는 병용)

1차 치료 실패/불가 시 고려

III

최적 역할 확립 안 됨 → 개별적 결정 필요

환자·상황별 맞춤 접근 필요

IV

무효하거나 해로울 수 있음 → IRB 승인 필요

임상시험 외 사용 제한



2. 권고 등급 (GRADE system)

권고 등급

강도

근거 수준

의미

1A

강한 권고

높은 근거 (잘 설계된 RCT, 일관성)

거의 모든 환자에게 적용

1B

강한 권고

중등도 근거 (제한된 RCT, 관찰연구)

대부분 상황에서 적용

1C

강한 권고

낮은 근거 (관찰연구, 케이스 시리즈)

권고는 강하나 향후 변동 가능

2A

약한 권고

높은 근거

상황/가치관에 따라 달라짐

2B

약한 권고

중등도 근거

상황 따라 다른 접근 가능

2C

매우 약한 권고

낮은 근거

대안 충분히 고려 필요



3. 주요 질환 예시


1) 신경질환 (Neurologic Disorders)

질환

치료

Category

Grade

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 (AIDP, Guillain-Barré)

TPE, IA

I

1A–1B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 (CIDP)

TPE

I

1B

다발성 경화증 (재발성 MS)

TPE, IA

II

1B–2B

시신경척수염 (NMO, AQP4+ 포함)

TPE

II

1B

중증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위기 포함)

TPE, IA

I–II

1A–1B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

TPE

IV

2C

자가면역성 뇌염 (예: 항-NMDA 수용체 뇌염)

TPE

II

1C–2C


2) 혈액질환 (Hematologic Disorders)

질환

치료

Category

Grade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TTP)

TPE

I

1A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aHUS)

TPE

I–II

1B–2B

혈우병 억제항체 (Factor inhibitors)

TPE

II–III

2B

겸상적혈구병 (Sickle cell crisis, hyperviscosity)

RBC exchange

I

1A

적혈구 동종면역 (임신 합병증 포함)

IA, RBC exchange

II

1B

거대세포빈혈/고점도증후군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Myeloma)

TPE

I

1A

적혈구다증증 (Polycythemia vera, 급성)

RBC phlebotomy

I

1A


3) 신장질환 (Renal Disorders)

질환

치료

Category

Grade

항체매개 거부반응 (AMR, Kidney Transplant)

TPE, IA

I–II

1B–2B

Goodpasture 증후군 (Anti-GBM disease)

TPE

I

1A

루푸스 신염 (Lupus nephritis)

TPE

III

2B

신증후군 (FSGS recurrence after transplant)

TPE

II

1B


4) 간질환 (Liver Disorders)

질환

치료

Category

Grade

급성 간부전 (Acute Liver Failure)

TPE-HV

I

1A

급성 간부전 (표준 TPE)

TPE

III

2B

Wilson 병, fulminant

TPE

II

1B

알코올성 간질환 (severe alcoholic hepatitis)

TPE

III

2C


5) 면역/류머티즘 질환 (Immune/Rheumatologic)

질환

치료

Category

Grade

전신홍반루푸스 (SLE, CNS/hematologic)

TPE

II–III

1C–2C

피부근염/다발근염 (Dermatomyositis/Polymyositis)

TPE

III

2C

류머티즘 관절염

TPE

IV

2C

ANCA-associated vasculitis

TPE

II

1B


6) 기타/중독/대사질환 (Miscellaneous)

질환

치료

Category

Grade

독성, 약물중독 (Toxins, venoms, poisoning)

TPE, HP

II–III

2B

고지혈증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LDL-apheresis

I

1A

아밀로이드증 (Amyloidosis, dialysis related)

TPE

III

2C

포르피린증 (Porphyria, acute attacks)

TPE

II

1B

COVID-19, 패혈증

TPE

III

2C



4. 가이드라인 요약


1) 적응증 범위

  • 총 91개 질환/상태, 166개 적응증
  • Category I: 27개 / Category II: 44개 / Category III: 91개 / Category IV: 4개


2) 치료 권고 원칙

  • Category I, II: 적극 권장 (특히 Category I은 표준치료로 권고)
  • Category III: 명확한 근거 부족 → 개별 환자에 따라 결정
  • Category IV: 효과 없음/해로울 수 있어 임상시험 외 사용 제한


3) 주요 권고 내용

  • 길랭-바레 증후군: 혈장교환(TPE) 또는 면역흡착(IA), 1차 치료로 권장
  •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TTP): TPE, 표준치료 (I, 1A)
  • 급성 간부전: 고용량 혈장교환(TPE-HV), 1차 치료 (I, 1A)
  • 장기이식 거부반응(특히 신장): 항체 제거 목적으로 TPE/IA 권장
  • 신경질환(다발성 경화증, 중증근무력증 등): 보조적 치료로 권장 (II)
  • 알츠하이머, 파킨슨 등 신경퇴행성 질환: 효과 입증 부족 → 연구용 사용 권장 (IV)


4) 실무 적용 포인트

  • 급성 중증 질환 (TTP, GBS, 급성 간부전 등) → 신속히 TPE 시행
  • 만성/불확실 질환 (MS, 루푸스, 아토피 등) → 2차 치료 또는 연구적 접근
  • 효과 없음/위험성 큼 (Category IV) → 임상시험 상황에서만 제한적 시행


--------------------------------------------------------------------------------


현재 개원가에서는 항노화, 알츠하이머, 파킨슨, 류마티스 등에서 혈장교환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HOMESPITAL


분류 게시물